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상과학독본
- 지스타 2014
- G-star 2014
- 수메르
- ninja scroll
- 울트라맨
- 공상비과학대전
- x-pro1
- 아눈나키
- HDR효과
- 메소포타미아
- Titanic 3D
- 동아대학교 예술대
- 陽だまりの彼女
- 서바이벌
- PBS 평화방송
- 잉카문명
- 양지의 그녀
- 니비루
- 마야문명
- 스팅 한글자막
- V for Vendetta BD
- 80/20법칙
- 파라오
- 후지필름 #x-m5
- jr특급 하루카
- 플레인 블루레이
- 간사이공항 특급
- Plain Archive
- 지구연대기
- Today
- Total
목록박물관 (12)
쉼-티 박물관
중국 고대 청동기 물그릇 반 盤 Water vessel / 서주 후기(BC 900~BC 771) Late Western Chou period : 물을 담아 세수를 하는 그릇으로, 상대(商代) 초기에 출현했다. 고대 제사와 연회 때 옥관의 예를 거행하는 데 필요하였는데. 이는 곧 손을 씻는 의례로, 물에 손을 담구어 얼굴을 대고 물을 끼얹는데 사용되었다. 반의 형식은 상대와 서주 초기의 형식인 귀가 없는 것과 주대의 아가리 아래의 양쪽에 s자형의 손잡이가 있는 것이 있다. ‘백자군(白者君)’ 자 물그릇 (‘백자군’반 ‘白者君’盤 Water vessel) 서주 후기(BC 900~BC 771) Late Western Chou period ‘중 신’자 물그릇(‘중..신’반 ‘仲..臣’盤 Water vessel)..
중국 고대 청동기 음식그릇 대 敦 Food vessel / 춘추 후기~전국 후기 (BC 600~BC 221) Late Spring Autumn~Late Warring States period : 곡식과 음식물을 담아놓는 그릇이며, 정과 궤의 형상이 결합되어 이뤄져있다. 춘추 중기에 나타났는데 춘추 말기에서 전국 말기까지 성행했고, 진나라 이후에 사라졌다. 형태는 몸과 뚜껑을 합치면 둥근 공 모양을 이루며 양쪽에는 세 개의 고리가, 아래로는 세 개의 다리가 붙어 있다. 뚜껑에는 고리모양의 귀가 있고 주위에 입체적으로 세 마리의 새 머리가 있으며 뚜껑과 그릇 복부에는 황동실을 끼워 넣어서 동물의 윤곽을 나타내었다. 동물무늬 음식그릇 (양감수문대 鑲嵌獸紋敦 Food vessel with inlaid anima..
중국 고대 청동기 음식그릇 궤 簋 Food vessel / 상 후기~서주 후기(BC 1300~BC 771) Late Shang~Late Western Chou period : 삶거나 익힌 곡식을 담는 그릇으로, 상대 초기에 궤는 굽이 높고 몸퉁 위가 잘록하고 몸통이 불룩한 형태이고 아가리 아래에 동물 얼굴 장식이 있는 반환형의 손잡이가 있다. 서주 초기에는 형식변화가 매우 두드러지는데 받침대와 몸통을 하나로 주조한 방좌의 궤가 유행한다. 서주 중기에는 몸통아래에 굽을 부착한 전기의 형식도 잔존하면서 굽 아래에 4개의 다리를 단 새로운 형식이 나타난다. 다리는 짐승의 발톱을 표현한 수족각이다. 대부분의 궤에는 뚜껑이 덮여 있는데, 굽을 축소한 형태의 꼭지가 있다. 뚜껑과 몸통 전면에 다양한게 장식한 문양은..
중국 고대 청동기 굽다리그릇 두 豆 Food vessel / 춘추 후기(BC 600~BC 476) Late Spring Autumn period : 음식을 담는 그릇으로 주로 절인채소, 다진 고기와 조미료를 담는다. 상대에 출현하여 춘추전국시대 때까지 성행했다. 형태는 높은 굽을 가진 둥근 용기로 둥근 몸체에 고리 모양의 손잡이가 있다. 뚜껑, 그릇은 각각 두 개 조의 수렵 도안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황동실을 끼워 넣어서 사냥꾼이 큰 활을 쏘거나 창으로 찌르는 형태로 몇몇 짐승은 몸에 몇 개의 화살을 맞은 그림이다. 인간 활동을 소재로 한 이러한 문양장식은 춘추 중기 이후의 실용적인 요소를 이어받은 것이다. 사냥모습을 새긴 굽다리그릇 (양감수렵문두 鑲嵌狩獵紋豆 Food vessel with inlaid h..
중국 고대 청동기 음식그릇 수 盨 Food vessel /서주 후기(BC 900~BC~ 771) Late Western Chou period : 곡물이나 음식물을 담는 용기인데 아마도 ‘궤’에서 변화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서주 중기부터 새로운 식기로 등장한 수는 사각형의 몸통 양쪽에 손잡이가 달렸고 반화형 고리위에는 ┘자형의 손잡이가 달렸다. 뚜껑은 높이가 낮은 반원형이고 쌍으로 된 고리 또는 ㄴ자형의 기둥이 세워져 있다. 몸통과 뚜껑에는 횡선이 장식되었다. 수는 서주 후기에 들어오면 새로이 중환문(重環紋)이 시문되었다. ‘진후(晋侯)..’자 음식그릇(진후.. 수 晋侯..盨 Food vessel) 서주 후기(BC 900~BC~ 771) Late Western Chou period 보 簠 Food ves..
중국 고대 청동기 증류기 蒸餾器 Distiller / 서한 후기~ 동한 전기 (BC 100~AD 100) Western Han~Eastern Han period : 술을 증류하는 그릇으로 한대의 ‘언’과 유사하다. 윗부분은 시루(찜통)이고 아랫부분은 솥이다. 두개의 그릇은 양쪽 측면에 가지런하게 고리가 있는데 다른 점은 시루 아랫부분과 솥 윗부분에 굵기가 다른 관이 있는 것으로서 증기를 모으는 것과 증기를 더하기 위해 액체를 붓는데 사용한다. 솥 바깥 바닥에 큰 재 받침이 있는 것으로보아 많이 사용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상해 박물관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술의 알코올함량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증류수나 약물을 유효 성분을 취할 수 있었다. 이 증류기는 기원전의 한 교체기에 중국에서 이미 증류기술이 사용되었..
중국 고대 청동기 시루 언 甗 Steamer / 서주 전기~서한 (BC 1100~AD 8 ) Early Western Chou~Western Han period : 음식을 찌는 기구이며, 상대 초기에 나타났는데, 위에는 시루이고 아래는 솥으로 합쳐진 형태이다. ‘시루에 양식을 담고 솥에 물을 채운 후 중간에 시루 밑을 끼워두는데 시루 밑은 십자형의 구멍을 뚫어, 증기를 통하게 하였고, 솥 아래에 불을 지펴 물을 끓이고 증기로 음식물을 쪄내는 것이다. 현존하는 ‘언’은 모두 뚜껑이 없는데 당시에는 목재로 된 뚜껑이었을 것이다. 채회운문언과 같은 채색청동기는 귀족이 죽을 때 같이 묻기 위해 만든 명기이다. 글자가 있는 시루 (상부언 商婦甗 Steamer) 서주 전기 (BC 1100) Early Western..
중국 고대 청동기 솥 력 鬲 Cooking vessel / 상 중기~서주 후기 (BC 1500~BC 771) Mid Shang~Late Western Chou period : 일반적으로 죽 종류의 음식을 끓이는데 사용되었고 고기류의 식품을 담아두는 데도 사용되었다. 형태는 ‘정’과 비슷하고 모두 속이 깊은 둥근 저부에 두개의 손잡이, 세 개의 다리를 갖고 있다. 정과의 차이점은 아랫부분이 세 개의 둥근 자루를 서로 합친 양식으로 이뤄져 있고 각각 자루형 복부의 아래는 하나의 원뿔형의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구조는 가열면을 넓게 하여 빨리 조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 중기의 력은 문양장식이 단순하지만 후기에는 몸통 전면에 수면문을 장식하였다. 활시위무늬 솥 (현문력 弦紋鬲 Cooking vessel) ..
중국 고대 청동기 솥 정 鼎 Cooking vessel / 상 전기~전국전기 (BC 1600~BC 400) Early Shang Warring States period : 음식을 삶거나 끓이는 가장 일반적인 청동제기이다. 신석기 시대 도기를 모방해서 만든 것이 하대후기에 확인되었는데 하대 후기의 정은 몸통이 원형이고 위 쪽에 단순한 구름문이 장식되었다. 길이가 짧고 단면 삼각형인 3개의 다리가 부착되었다. 아가리는 수평에 가깝게 외반하고 아가리 안쪽에 반환형의 손잡이가 부착되었다. 상 전기에 나타난 네모난 정은 서주 중기에 사라지고 원형정이 다수를 차지한다. 후기에 들어오면 아가리 직경보다 바닥 직경이 커지고 바닥은 완만해진다. 다리는 짧아지면서 굵어지고 굽이 표현되어 짐승다리 모양을 한다. 후기에는 번..
중국 고대 청동기 술항아리 호 壺 Jar / 상 후기~동한(BC 1300~AD 220) Late Shang~Eastern Han period : 술을 담는 용기로 운반할 때는 손잡이에 줄을 꿰어 나무를 꽂아 사용한다. 상 중기의 이른 시기에 출현하여, 한대(漢代)까지 계속 사용되어 형태변화도 다양하다. 상 후기에는 몸통이 네무난 방형과 편원형이 있는데 여러 종류의 화려한 문양이 장식되었다. 몸체에는 동물얼굴문양을 상하로 두개를 시문하여 서로 마주보는 형상이 되는데, 이는 상 말기 호의 대표적인 장식기법이다. 춘추 후기에서 전국 초에는 더욱 번잡하고 화려하게 장식이 되는데 백유부호, 용문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국기에 들어오면 대부분의 주기가 사라지지만 호는 많이 확인되는데 이 시기에는 스템프, 상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