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스팅 한글자막
- Plain Archive
- 양지의 그녀
- Titanic 3D
- G-star 2014
- 메소포타미아
- 陽だまりの彼女
- 동아대학교 예술대
- V for Vendetta BD
- 80/20법칙
- 간사이공항 특급
- 지구연대기
- 잉카문명
- 서바이벌
- PBS 평화방송
- jr특급 하루카
- 플레인 블루레이
- 아눈나키
- 후지필름 #x-m5
- HDR효과
- 울트라맨
- ninja scroll
- 파라오
- 마야문명
- 지스타 2014
- 수메르
- 니비루
- 공상과학독본
- x-pro1
- 공상비과학대전
- Today
- Total
쉼-티 박물관
중국 고대 청동기 술항아리 - 호 본문
중국 고대 청동기 술항아리
호 壺 Jar / 상 후기~동한(BC 1300~AD 220) Late Shang~Eastern Han period
: 술을 담는 용기로 운반할 때는 손잡이에 줄을 꿰어 나무를 꽂아
사용한다. 상 중기의 이른 시기에 출현하여, 한대(漢代)까지 계속 사용되어 형태변화도 다양하다. 상 후기에는 몸통이 네무난 방형과
편원형이 있는데 여러 종류의 화려한 문양이 장식되었다.
몸체에는 동물얼굴문양을 상하로 두개를 시문하여 서로 마주보는 형상이
되는데, 이는 상 말기 호의 대표적인 장식기법이다.
춘추 후기에서 전국 초에는 더욱 번잡하고 화려하게 장식이 되는데 백유부호, 용문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국기에 들어오면 대부분의 주기가 사라지지만 호는 많이 확인되는데 이 시기에는 스템프, 상감, 도금, 주양법 등 다양한 문양장식기법이 사용되어 예기의 근엄함은 없고 개인취향을 추구하였다.
‘선(先)’자 술항아리 (‘선’호 ‘先’壺 Jar )
상 후기(BC 1300~BC1100) Late Shang period
‘백유부(伯游父)’ 술항아리 (‘백유부’호 ‘伯游父’壺 Jar)
춘추중기(BC 700~BC 600) Mid Spring Autumn period
용 줄무늬 술항아리 (반용락문호 蟠龍絡紋壺 Jar with dragon and rope pattern)
춘추 후기(BC 600~BC 476) Late Spring Autumn period
새, 짐승, 용무늬 술항아리(조수용문호 鳥獸龍紋壺 Jar with bird, dragon pattern)
춘추 후기(BC 600~BC 476) Late Spring Autumn period
깃털무늬 술항아리(우시문호 羽翅紋壺 Jar with feathers pattern)
전국 전기(BC 475~BC 400) Early Warring States period
구름무늬 색칠한 술항아리(채회운문호 彩繪雲紋壺 Jar with decorated cloud)
서한(BC 206~AD 8) Western Han period
구름무늬 색칠한 네모 술항아리(채회운문방호 彩繪雲紋方壺 Square Jar with decorated cloud)
서한(BC 206~AD 8) Western Han period
풀꽃무늬 술항아리 (첩판릉문호 疊瓣菱紋壺 Jar with petals pattern)
동한 (AD 25~AD 220) Eastern Han period
'박물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고대 청동기 시루 - 언 (0) | 2013.11.11 |
---|---|
중국 고대 청동기 솥 - 력 (0) | 2013.11.11 |
중국 고대 청동기 솥 - 정 (0) | 2013.11.11 |
중국 고대 청동기 - 온주로 (0) | 2013.11.11 |
중국 고대 청동기 술항아리 - 뢰, 부, 령, 화 (0) | 201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