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중국 고대 청동기 술항아리 - 뢰, 부, 령, 화

전반장 2013. 11. 11. 16:18

중국 고대 청동기 술항아리



뢰 罍 Wine container / 상 후기 (BC 1300~BC 1100) Late Shang period

술을 담는 대형 그릇이며, 몸통의 형태는 사각형과 원형이 있다.

형태는 좁은 구연으로 어깨 양측에 동물머리모양의 귀가 있으며,

몸통 아랫부분에도 약간 작은 귀가 하나만 부착되어 있는데,

이것은 술을 따를 때 손으로 받쳐 들기 손쉽게 하기 위한 용도이다.

몸체에 장식된 문양은 섬세하고 정교해서 상 말기 청동기 주조공예의 전성기를 보여준다.



동물얼굴무늬 술항아리(수면문뢰 獸面紋罍 Wine container with animal mask design)

상 후기(BC 1300~BC 1100) Late Shang period







부 瓿 Jar / 상 후기(BC 1300~BC 1100) Late Shang period

: 대형의 술 담는 그릇으로 생각되나, 곡물을 담아두는 식기라는 주장도 있다.

‘부’의 사용 시기는 비교적 짧아, 대략 상 중기에서 상 후기까지 주로 사용되었고, 서주 중기 이후는 사라진다.

상 후기의 부는 30cm 내외의 소형과 40cm 이상의 대형이 있는데, 모두 뚜껑이 있다.

이 수면문부는 그릇 모양은 넓고 큰 주둥이에 배가 부른 항아리 모양으로 높은 굽이 달려있다.

동물 형태를 모방하는 상후기 청동기 공예품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데,

어깨부분에는 세 개의 원추형의 말리 뿔모양을 가진 양머리가 배치되어 있고, 측면에는 각각 용문양이 장식되어 있다.



동물얼굴무늬 술항아리(수면문부 獸面紋瓿 Jar with animal mask design)

상 후기 (BC 1300~BC 1100) Late Shang period







령 䍅 Jar / 춘추 전기 (BC 770~BC 700) Early Spring Autumn period

: 술을 담는 용기로써, 어깨가 강조된 소형의 항아리로 ‘뢰’와 다소 유사하지만 높이 낮고 목이 가늘다.

서주 말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이 때는 ‘뢰’가 바로 소실되던 시기여서, 서로가 교체되는 상황이 비교적 명확하다.

령은 춘추말기까지 계속 사용된다.



용무늬 술항아리(교룡문령 交龍紋䍅 Bottle with dragons design)









화 盉 Kettle / 전국 전기(BC 475~ BC 400) Early Warring States period

: 술을 담아두거나 나르는 그릇으로 주전자가 나타나기 전에 ‘반’과 함께 쓰이던 것으로,

술맛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을 타는 데 사용하기도 했다. 형태는 솥의 형태에서 주둥이를 오므려서 뚜껑을 덮은 것인데

몸통에 통 모양의 주구가 달리고 반대쪽에는 손잡이가 달리는데 뚜껑과 손잡이는 체인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작은 입, 넓은 어깨의 제량화(提梁盉)는 춘추말기와 전국 시기의 기본형태이다. 덮개에 용과 봉황 무늬가 장식되어 있고,

복부에는 용문양이 있다. 다리 윗부분에는 다섯개의 사실적으로 묘사된 용문양이 장식되었다.



용무늬 술주전자 (반룡문화 蟠龍紋盉 Kettle with dragon design)

전국 전기(BC 475~ BC 400) Early Warring States period